한국현대미술신문 정소영 기자 | 부산시의회 복지환경위원회 윤태한 의원(사상구1, 국민의 힘)은 2월 5일에 열린 제326회 임시회 제1차 본회의 5분자유발언에서 2023년에 지방정원으로 등록·고시된‘부산 낙동강 지방정원’의 국가정원 지정 추진 현황을 되짚었다.
이번 5분자유발언은 부산 낙동강 지방정원 등록·고시 이후 1년 반이 지났음에도 괄목할만한 사업 진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꼬집은 것이다.
윤태한 의원은 제317회 정례회와 제319회 임시회, 두 차례에 이미 삼락생태공원의 접근로 미비 문제와 함께 낙동강 지방정원의 원활한 사업 진행을 당부한바 있다.
부산시는 이번 해 8억 1천 5백만원의 예산을 마련하여 ’낙동강 국가정원 지정 추진‘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며, 이는 지난해보다 약 5배가량 증대한 것이다.
윤태한 의원은 부산시가 여전히 국가정원 지정 충족을 위한 인력 기준을 마련하지 못한 점을 질책하며 정원 관리 조직은 정식 직제화가 됐으나 전담인력의 확충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짚으며 이를 하루속히 해결할 것을 주문했다.
이와 함께 현재 부산시의 국가정원 관리 사무의 불명확한 업무분장에 대해 이야기하며 관련 부서 사이의 적극적인 업무 협조 필요성과 낙동강 지방정원의 구체적인 운영 및 관리가 적시된 조례 마련을 촉구했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어 온 삼락생태공원 일원이 부산 낙동강 지방정원으로 지정됨에 따라, 향후 더 많은 시민이 이용할 것을 예견하며 편의를 위한 접근로 부족과 그로 인한 안전 문제의 언급도 잊지 않았다.
부산시는 삼락생태공원의 접근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상 리버프런트시티(브릿지) 조성사업을 진행했으나, 기본 및 실시설계용역만 완료한 상황으로 진행 방향은 미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