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 학교자율시간,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개발 박차

2026학년도 신규 과목 7종 승인… 지역과 학교 특색 반영

 

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교육청이 학생의 삶과 지역사회가 연결된 창의적 교육과정 지원을 확대한다.

 

전북교육청은 2026학년도 중학교 학교자율시간에 개설할 수 있는 교육감 승인 과목(고시 외 과목) 7종을 새롭게 승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신규 과목은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나 △온고일신 △디지털 완주 △완주에서 세계로 △남원을 걷다 △지리산 용성길 △마이골에서 세계로 등 7종이다.

 

학교자율시간은 지역과 학교의 특색을 반영한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하는 것으로 ‘주어진 교육과정’에서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을 의미한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 변화 중 하나로 중학교 3년 동안 한 학기 이상 편성·운영하도록 돼 있다.

 

전북교육청은 그동안 학교자율시간 운영을 지원하기 위해 △학교자율시간 과목 개발 연수 △신설 승인 절차 안내 △편성·운영 참고자료 보급 등을 추진해왔다.

 

특히 전북교육청에서 개발한 지역 교재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나’, 한문과 인성이 결합된‘온고일신’도 승인해 각 중학교에 안내했다.

 

또한 2026학년도 보급을 계획으로 미래 농생명 산업에 대한 과목을 개발 중이며, 교사의 역량 강화를 위한 학교자율시간 연수 지원 등도 강화할 계획이다.

 

완주교육지원청에서는 디지털 및 인공지능을 활용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 ‘디지털 완주’와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완주에서 세계로’로 교수·학습자료 및 교육과정을 개발해 승인을 받았다.

 

학교 현장도 속도를 내고 있다. 남원용성중학교와 남원하늘중학교는 남원지역을 기반으로 한 과목을 개발했고, 진안중학교에서도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과목이 신설 승인됐다.

 

최은이 중등교육과장은 “학교자율시간은 교사·학생·학부모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으로 학교 교육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학교 현장에서 안정적이고 지속 가능한 운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