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민 힘 모아, 국제스케이트장 유치 재가동

21일 춘천 국제스케이트장 범시민유치위 발족식

 

한국현대미술신문 원진 기자 | 춘천시가 춘천 국제스케이트장 범시민유치위원회를 발족, 국제스케이트장 공모 재개에 대비해 범시민적 유치 기반 다지기에 나섰다.

 

춘천시체육회는 21일 스카이컨벤션에서 육동한 춘천시장을 비롯해 시·도의회 의원, 지역 체육계 및 빙상 원로, 사회단체장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춘천국제스케이트장 범시민유치위원회 발족식 및 연석회의를 개최했다.

 

위원회는 춘천시체육회 소속 임시기구로 권복희 강원특별자치도빙상경기연맹 회장이 위원장을 맡아 부위원장, 집행위원장, 집행위원, 고문단, 대외협력추진단 및 범시민유치위원 등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공모 재개 전까지 유치 공감대 확산, 시민 참여 캠페인, 민간 재원 확보 등 다양한 활동을 추진할 계획이다. 대한체육회 등 관계 기관과의 협력도 지속할 방침이다. 이날 행사는 범시민유치위원회 구성을 공식화하고 유치 경과 보고와 결의문 낭독, 포토 퍼포먼스 등으로 이어졌다.

 

서울 태릉선수촌 내 국제스케이트장은 인근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오는 2027년까지 철거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대한체육회는 2023년 지자체를 대상으로 대체 부지를 공개 모집했으나 현재는 절차가 중단된 상태다.

 

범시민유치위원회는 국제스케이트장 유치 공모가 중단된 상황에서도 춘천 시민사회와 기관이 힘을 모아 동력을 이어가고 공모를 선제적으로 준비하기 위한 차원에서 마련됐다. 서울 태릉선수촌 내 국제 규격 스케이트장은 인근 조선왕릉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면서 오는 2027년까지 철거가 불가피하다. 이에 따라 대한체육회는 2023년 지자체를 대상으로 대체 부지를 공개 모집했으나 현재는 절차가 중단된 상태다

 

춘천시는 춘천 소양강스케이트 대회(1929년)를 시작으로 춘성군체육협회 주최 빙상경기(1934년), 스피드스케이팅 선수권 우두강 빙상대회(1962년), 전국체육대회 동계 빙상대회(1971년)를 개최하는 등 1980년대 초까지만해도 한국 빙상의 메카로 다양한 경기를 개최해왔다. 이에 시는 대한민국 빙상의 발상지로서 위상을 되찾기 위해 환지본처(還地本處)를 강조하고 있다. 특히 국제 규격 빙상장 유치를 통해 명성을 이어가겠다는 계획이다.

 

춘천 국제스케이트장 예정지는 송암동 137번지 일원 시유지로 약 6만㎡(1만 8,000평)에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구상하고 있다. 시는 수도권 근접의 지리적 이점과 의암빙상경기장 등과 연한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이강균 춘천국제스케이트장 범시민유치위원회 집행위원장(춘천시체육회장)은 “시민과 함께 유치 기반을 단단히 다지는 오늘의 출발이야말로 공모 재개를 앞두고 춘천을 가장 준비된 도시로 만드는 길”이라며 “민·관이 긴밀히 협력해 반드시 국제스케이트장 유치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어린 시절 공지천에서 전국 빙상대회가 열리면 뚝방 위에 서 하루 종일 경기를 지켜봤듯 춘천의 빙상은 뚜렷하게 기억 속에 남아있다”며 “범시민위원들과 시민들의 열정과 의지가 모인다면 대한민국 빙상은 반드시 춘천으로 돌아올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