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본부장 이오숙)는 축사시설의 화재 예방을 위해 5월 7일부터 6월 30일까지 약 8주간, 화재위험성이 높은 돈사·계사 331개소를 대상으로 화재안전조사를 집중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말부터 실시한 축사 위험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C·D등급으로 분류된 고위험 축사 1,675개소 중 약 20%를 선별해 추진된다. 등급은 노후도, 건축 규모, 동 간 거리, 소방관서 접근성, 과거 점검 이력 등 5개 항목을 계량화해 A부터 D등급으로 분류했다.
조사는 '소방시설법'과 '화재예방법'에 따라 진행되며, 축사 내 소방시설의 설치·유지관리 상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 실태, 자율안전관리 체계의 구축 여부 등을 중점적으로 확인할 계획이다.
점검 항목은 관계인의 안전관리 업무 수행 실태, 보온등·환풍기 등 전기설비의 위험요소 제거 여부, 전선·차단기 등 전기시설의 관리 상태, 소방시설 작동 여부와 화재위험요소 제거 실태 등이다.
소방본부는 기존의 일괄 점검 방식에서 벗어나, 화재위험이 높은 시설을 선별해 집중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예방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축사 화재의 주요 원인인 전열기구 과열과 노후 전기설비 문제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도록 선제 대응을 강화한다.
이오숙 전북특별자치도소방본부장은 “축사는 구조적으로 화재에 취약하고, 화재 발생 시 대규모 재산피해로 이어질 수 있는 시설인 만큼, 위험도를 정확히 진단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번 조사를 통해 화재위험요소를 사전에 제거하고, 농가와 함께 자율적인 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