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원진 기자 | 춘천시 인구 유입을 위한 필요 정책으로 춘천 시민들은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을 가장 크게 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춘천시는 춘천시 인구정책 수립을 위한 시민 설문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앞서 시는 지난 4월 19세 이상 춘천시민 1,01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시민들이 인구 문제 가운데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는 ‘수도권으로의 인구 유출(36.7%)’을 꼽았으며, ‘혼인율 감소(23.3%)’, ‘출생률 감소(21.2%)’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구도심 거주자의 45.9%는 수도권 유출 문제를 가장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 및 임신‧출산에 대한 인식도 연령대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결혼은 ‘해야 한다’는 응답이 45.8%, 임신‧출산은 46.9%로 나타났지만 연령이 낮을수록 부정적 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결혼과 임신‧출산을 꺼리는 주요 이유로는 남성은 ‘경제적 부담’ 여성은 ‘개인의 자유 유지’와 ‘육아·경력단절 부담’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시민들은 춘천지역 취‧창업 유도 필요 정책으로 ‘양질의 일자리 창출(52.5%)’이 가장 많았고, 춘천 지역 기업‧기관과 연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확대(22.6%), 취‧창업 지원금 및 공간지원 확대(7.2%) 순이었다. 특히 양질의 일자리 조성은 70대 이상(63.4%)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춘천 지역 기업‧기관과 연계한 취업지원 프로그램 확대와 취‧창업 지원금 및 공간지원 확대는 20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구 유입을 위한 정책으로는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23.7%)이 가장 높았으며, 20~30대 청년층 유입을 위해선 특히 ‘전입 대학생·근로자 주거비 지원(62.5%)’, ‘출퇴근 교통비 지원(16.1%)’ 등의 생활 밀착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정주 여건 개선과 관련해서는 ‘교육 환경 및 미래인재 육성 시스템 강화(24.6%)’, ‘높은 주거비용 해소(20.4%)’, ‘문화·체육 인프라 확충(18.0%)’ 순으로 필요성이 제기됐다.
춘천시는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별 맞춤형 인구정책과 조례를 제장하겠다는 계획이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이번 설문조사는 인구 감소의 구조적 원인뿐만 아니라 시민이 체감하는 생활 속 문제까지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 춘천시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세대별 수요와 지역 특성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단계적으로 추진할 것이며, 시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지역 공동체를 구축하는데 정책적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조사원을 활용한 1:1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07%p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