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오는 2024년 1월 17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라메르(1관)에서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이 열린다.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은 신청한 작가 중에서 14명을 선정하여 작가들이 꾸민 부스작품 전시회를 개최하는데, 이용나 작가도 참여한다. 이용나 작가의 작품 주제는 “유쾌한 사유” 인데, 사유가 무슨 뜻이냐고 물었다. 사유는 일상생활에서 우리를 웃게 만들어 주는 재미있는 이야기나 상황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웃기거나 재미있는 에피소드, 유머, 재미있는 동영상 등이 유쾌한 사유에 해당된다고 한다. 작가는 늘 웃는 얼굴을 하고 있는 것 같다. 작가의 삶에서 유쾌한 일들이 많이 있는 걸까? 아니면 그런 재미있는 삶을 살아가려고 웃는 것일까? 작가뿐만 아니라 모든 사람들이 추구하는 행복, 바로 많이 웃는 재미있는 삶일 것이다. 작가가 보여주고 있는 작품 속에 골프장이 소재로 등장하는데, 골프장과 유쾌한 사유는 무슨 관계냐고 물었더니, 골프를 알면 인생이 보인다고 한다. 골프와 인생을 비교해서 작품으로 승화시키는 자체가 특이하고, 재미있는 에피소드가 되는 것 같다. 골프는 자연조건에 놓여 있는 공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오는 2024년 1월 17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라메르(1관)에서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이 열린다.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은 신청한 작가 중에서 14명을 선정하여 작가들이 꾸민 부스작품 전시회를 개최하는데, 황미란 작가도 참여한다. 창문이란 환기와 채광을 위한 설치물이자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갖고있는 구조물이며, 우리가 창가에서 들여다보고 시선을 멈출 때 창문 너머의 그 무엇인가를 발견하고 바라볼 수 있다. 그러나 사람마다 신체나 정서가 다양하기에 시선이 머무는 위치나 받아들이는 마음에 따라 창가가 비추는 모습은 분명 같은 장면이라도 각자에게 다양한 그림이 되어 마음에 닿는다. 황미란 작가는 그런 면에서 창가는 다양한 해석의 여지가 있는 하나의 작품이나 다름없다고 본다. 작가의 창가란 창문을 통하여 햇살도 들이고, 속을 환기시키듯 마음 순환을 하며 현실의 무게를 덜어내기도 하는 공간이며, 창문을 통하여 비추어진 장면에 작가의 마음을 담아 그림을 그려내고 있다. 자신의 작품은 다른 이들에게 하나의 쉼 공간, 혹은 찰나의 풍경, 창문이 되기를 바란다. 섬세한 손길로 그려내는 민화는 기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오는 2024년 1월 17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에 위치한 갤러리라메르(1관)에서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이 열린다. 아트힐아트페어2024 부스공모전은 신청한 작가 중에서 14명을 선정하여 작가들이 꾸민 부스작품 전시회를 개최하는데, 이한경 작가도 참여한다. 이한경 작가는 자신의 작업 세계를 ‘빛의 여행’이라는 테마로 다루는데, 대상을 완전하게 해체하고 새로운 구조주의적 틀에서 조형을 구축해 나가고 있으며, ‘빛의 여행’은 우리의 일상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자주 보는 하늘과 구름 그리고 자연에서 보여지는 느낌을 빛에 따라 변해가는 색의 변화를 내 생각과 느낌을 캔버스에 담아내려고 한다. 그러기에 이한경 작가의 작품을 보면 평범한 작업처럼 보이면서도 누구도 모방하기 어려운 독특한 화풍으로 이루어진 순도 높은 조형성을 담고 있기에 국내외 아트페어에서 주목하는 작가이다. 이한경 작가는 자신에게 하루라는 시간은 매우 소중함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선물해 준다고 한다. 즐거운 일, 행복한 일, 그리고 많이 웃는 일, 아름다운 시각 속에 펼쳐지는 이벤트로 가득한 시간여행이라고 표현한다. 그렇지만 아슬아슬한 순간, 그
한국현대미술신문 배건 기자 | 2023년 12월 5일부터 2024년 2월 2일까지, 국립군산대학교 미술관에서 특별기획전으로 사제동행전, 이건용과 한국현대미술 전시회가 개최되고 있다. 우리나라 1세대 행위예술의 선구자인 이건용 명예교수와 미술학과 재직교수, 동문 등 45명이 함께 참여하게 되는데, 금번 특별기획전은 국립군산대 미술관을 이건용 현대미술관으로 새롭게 변모시켜 중서부지역 예술 활동의 활성화를 위해 앞장서며, 아울러 사제지간, 동문 선후배간의 교류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을 선도하는 작가로 성장하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이건용 명예교수는 1981년부터 1999년까지 국립군산대학교 교수로 재직하였으며, 명예교수이다. 작품활동으로 오브제, 설치, 실험드로잉, 퍼포먼스로 대변되는 실험예술로 한 길을 걸어 왔다. 70년대부터 퍼포먼스, 조각, 설치, 영상을 넘나들며 작업해온 한국 행위예술의 선구자다. 대표적인 작품 연작으로 바디스케이프는 일반적인 화가들처럼 캔버스를 앞에 두고 그린 그림이 아니고, 신체 드로잉, 몸의 움직임을 기록한 퍼포먼스의 결과물이다. 캔버스 옆에서 그리고, 뒤에서도 그리고, 캔버스를 등지고도 그리며, 눈으로 그리는게 아니라 몸의 움직임이 장소